본문 바로가기

이론/블록체인

(3)
이더리움 스마트 컨트랙트 이더리움의 두 가지 계정 유형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모든 엔티티는 외부 소유 계정(EOA) 또는 컨트랙트 계정(CA)의 형태를 가진다. EOA (Externally Owned Account):EOA는 사용자가 개인 키를 통해 제어하는 계정. EOA는 거래를 생성하고 이더를 전송하거나, 스마트 컨트랙트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.EOA는 일반적인 사용자 계정으로, 트랜잭션의 서명을 통해 이더리움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한다. 중요한 점은, 개인 키를 통해 거래의 승인 및 실행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.CA (Contract Account):CA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배포함으로써 생성되는 계정이다. CA는 코드로 제어되며, 외부 트랜잭션이 전달될 때마다 자동으로 그 코드에 따라 실행된다.EOA와 달리 CA는 거래를 ..
블록 크기, 포크, 오디널즈 1. 블록 크기와 확장 솔루션비트코인의 블록 크기는 한 블록에서 처리할 수 있는 거래 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. 기본적으로 비트코인의 블록 크기는 1MB로 제한되어 있어, 거래가 몰릴 때는 네트워크 혼잡과 거래 처리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.1.1 블록 크기 증가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블록 크기를 늘려 한 번에 더 많은 거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자는 의견이 나왔다. 그중 대표적인 제안이 SegWit2x있다.SegWit2x: SegWit과 블록 크기 증가를 결합한 것이다. SegWit은 거래 서명 데이터를 별도의 공간에 저장함으로써 블록 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. "2x"는 블록 크기를 2MB로 증가시키려는 제안이지만, 커뮤니티 내에서 큰 논란을 일으켰다.확장성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..
암호기술과 채굴의 이해 1. 블록체인의 암호기술크립토그래픽 해시함수 (단방향 알고리즘)SHA256-HASH:고정된 길이의 출력을 생성.동일한 입력에 대해 항상 같은 출력을 제공.입력 데이터가 조금이라도 변경되면 완전히 다른 출력이 생성.역연산이 불가능하여 보안성이 높음.비대칭키 암호 (양방향 알고리즘)대칭키 암호: 송신자와 수신자가 동일한 키를 공유.비대칭키 암호: 개인키와 공개키를 사용하여 보안성을 강화.타원곡선 암호화: 개인키와 공개키, 디지털 서명 등을 활용하여 지갑 주소를 생성.프로세스: 개인키 → 공개키 → 주소2. 채굴의 역할사용자와 채굴자의 차이사용자:비트코인을 송수신하고 거래를 진행합.개인 지갑(라이트노드)을 사용하여 자신의 거래를 관리.채굴자:비트코인 거래 내역을 기록하고 검증하는 역할.풀노드/채굴노드 및 채굴..

728x90
반응형